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영화 콘트리트유토피아 줄거리, 웹툰 원작과 차이점, 시사점 알아보기

by 은예하파파 2024. 4. 6.

영화포스터

줄거리

영화 '콘크리트유토피아'는 한국, 서울에 재앙이 닥쳐 황폐화된 세계를 배경으로 한 포스트 아포칼립스 스릴러 장르의 영화이다. '콘크리트유토피아'로 알려진 버려진 아파트 단지에서 피난처를 찾는 생존자들의 이야기가 시작되는데 먼저 경제적 어려움으로 아내와 딸에게 버림받은 영탁과 신혼부부인 민성과 명화가 등장합니다. 그곳에 거주하던 이 등장인물과 재난 상황에서 피난처를 찾는 외부인들과의 갈등이 시작됩니다. 재난 상황으로 편히 잘 곳 하나 없는 주변과 달리 이 아파트는 지진의 영향을 피해 안전하게 서 있습니다. 그래서 잘 곳을 찾아 외부인들이 이 아파트로 몰려들게 됩니다. 신혼부부인 민성과 명화네 집에도 외부인들이 찾아오는데 어린아이를 데려온 모녀를 받아주지 말자는 민성의 말과 달리 명화는 그들을 품어 없는 식량을 나눠주는 마음을 보입니다. 외부인들의 요구와 아파트 주민들의 불안이 고조되자 이 아파트 입주민들은 회의를 통해 하나의 조직으로 뭉치게 됩니다. 주민대표를 뽑아 외부인들을 들이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여 입주민들은 방법조를 꾸려 외부인들을 색출하고 더 이상 들어오지 못하게 막는 일을 시작합니다. 그 일을 앞장서 책임지게 된 주민대표는 영탁입니다. 영탁은 어리숙해 보이고 생각이 많아 보이는 표정으로 등장하지만 이 아파트를 지키는 것에 있어서는 누구보다 진심이고 열정적인 사람으로 그려집니다. 그렇게 외부인은 내쳐지고 이 아파트 입주민을 위한, 입주민에 의한, 입주민의 아파트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식량은 떨어져 가고 방범조는 식량을 구하러 아파트를 떠나 탐색을 합니다. 그 과정에서 다른 사람들이 지키고자 했던 식량을 폭력을 가해 구해오게 되고 아파트 입주민만을 위한 욕심에 살인까지 행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방범조에 속해 일을 하던 민성과 명화는 내적 갈등을 겪게 됩니다. 무엇이 옳은 일인지 살기 위해 어디까지 해야 하는지 인간의 극한의 상황에서 등장인물들의 고민이 적나라하게 드러납니다. 이 재난 상황에서 영탁의 존재를 알고 있는 한 여성이 등장하고 그로 인해 이 아파트와 영탁, 민성, 명화에게는 새로운 갈등들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 상황에서 영탁은 죽음을 맞이하고 외부인들의 폭동에 의해 아파트는 더 이상 안전한 곳이 아닌 혼란의 장소가 됩니다. 이를 피해 민성과 명화는 밖으로 도망치고 도망치는 가운데 상처를 입은 민성은 죽음을 맞이하고 혼자 남은 명화는 다른 외부인들의 거처로 가게 됩니다. 그곳은 외부인들을 맞이해 주고 상하관계가 없으며 모두 함께 도와주는, 명화의 아파트와는 상반된 곳입니다. 옆으로 쓰러진 건물에서 살아가는 그들을 바라보며 많은 생각을 하는 명화의 표정과 그곳을 동시에 비춰주며 영화는 끝이 납니다.

웹툰 원작과 차이점

영화 '콘크리트유토피아'의 원작 웹툰은 동일한 상황과 전체적인 스토리를 공유한다. 하지만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영화의 러닝타임이 2시간이기 때문에 그에 맞게 이야기를 압축하여 이야기 구조와 속도에 일부 수정이 되었다. 그래서 특정 부분과 등장인물은 매체의 특징에 맞게 간소화되거나 생략된다. 그리고 영화에서는 특정 등장인물이나 장면을 다른 등장인물보다 강조하여 그 등장인물에 대한 표현력이 웹툰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영화적 요소인 시각적, 청각적 자극들을 통해 웹툰에서 묘사된 포스트 아포칼립스 세계에 대해 영화만의 독특한 해석이 추가될 수 있다.

 

시사점

영화 '콘크리트유토피아'의 원작 웹툰을 보지 않았기 때문에 영화의 내용이 어떤 내용일지 미리 생각해보지 못하고 영화를 봤다. 영화를 다 보고 우리 한국 사회의 많은 사람들의 관심인 아파트에 대해서 생각해 봤다. 말 그대로 콘크리트로 만든 건물이라고 하니 지금 우리 사회에서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고 부의 상징, 경제적 수준을 판단하는 기준 등으로 생각되는 아파트의 가치가 크게 느껴지지 않는 것 같다. 우리는 콘크리트로 만든 이 곳을 유토피아라 생각하는 것일까? 콘크리트보다 더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생각해보게 된다. 아파트에 대한 생각뿐만 아니라 영화에서 나타난 두 가지 유형의 사람들을 생각해보게 된다. 민성과 명화가 거주한 아파트 입주민들은 결국 외부인들을 받아들이지 않고 자신들만을 위한 안식처를 고민하게 된다. 그러다 보니 그곳에서 상하관계가 발생하게 되고 음식은 시간이 지나도 계속 부족한 상태가 이어져 행복한 삶을 살기 보다는 조금 더 편안한 것을 갈구하게 되는 불안한 상태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명화가 영화 마지막에 가게 되는 그곳의 사람들은 자신의 음식을 자기 집 창고에 넣어두지 않고 사람들과 나누어 먹는 모습을 보여준다. 문은 닫혀있지 않고 열려 있으며 서로에게 웃음을 띈 얼굴로 대한다. 다음 식량을 위해 어떻게 준비할지 다그치지 않고 서로 격려하며 해결해 나가려는 공동체 의식이 돋보인다. 요즘 사회에서도 개인주의적 성향이 지배적이다 보니 자신의 것을 챙겨 저장하고 발전시키는 것에는 모두 전문가가 되어 있지만 정작 그것을 공유하고 서로 잘되게 하는 의식은 부족해 얼굴에 웃음기가 옅어져 가는게 아닌가 생각해 본다. 영화를 보면서 생각을 하게 만드는 영화는 개인적으로 참 좋은 영화라고 생각한다. 이런 주제의 영화를 다음에도 또 글로 정리해보고자 한다.